여러분, 집중 좀 해라 해라 하는데, 과연 ‘집중’이라는 것은 무엇일까요?
‘집중’을 뇌과학적 정의로는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어요.
사실 우리는 지금 이 순간에도 시각, 청각, 후각 등의 기관으로부터 온갖 정보들이 우리 뇌에 들어오고 있는데, 뇌 안의 시상하부 및 기저핵(Basal Ganglia)이 집중할 대상에 대해서만 “필터링”을 해주고 있던 거죠! 여기서부터 눈치 빠른 분들은 벌써 감이 오셨을 거예요 
“그럼 필터링만 잘하게 되면 집중을 잘하겠네?!🫢”
정답입니다! 방해 요소로 작용할 만한 것들을 잘 차단하는 ‘필터링 능력’만 갖추게 되면 흔히 말하는 몰입의 상태에 빠지기 쉽게 되는 것이죠! 지금부터 메이트 여러분들 만을 위한 필터링 능력(집중력) 강화 비법을 알려드릴게요!
집중 상태의 변화 단계 
자, 집중력 강화 비법을 이해하기 위해선 먼저 우리가 공부하는 동안 집중력 상태가 어떻게 변화하는 지를 짚고 넘어가야 해요. 뇌과학적으로 집중의 상태는 다음과 같은 흐름을 가지고 있어요.
위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집중 상태는 크게 “워밍업”, “몰입”, “지속주의한계” 3가지로 이루어져 있어요. 그럼 워밍업 단계의 꿀팁부터 알려드릴게요!
1단계: 음악으로 집중 워밍업 루틴 만들기 
이쯤되면 생길 수도 있는 궁금증, 해결해 드려요!
Q. 시각적인 워밍업도 공부 집중에 도움이 될까요?
Q. 그럼 후각적, 촉각적 워밍업은 도움이 되나요?
자 오늘은 초집중 공부 상태가 될 수 있는 비법 PART 1에 대해서 알려드렸어요. PART 2에서는 집중 상태의 변화 단계 중 ‘몰입’, ‘지속주의한계’ 두 단계에서의 꿀팁을 알려드릴게요!